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공지능과 인간성의 경계를 다룬 영화 'Ex Machina'와 'Transcendence' 비교

by 엠제이2 2025. 4. 25.

인공지능과 인간성의 경계 이미지
인공지능과 인간성의 경계

 

인공지능(AI)은 더 이상 공상과학 소설 속의 환상이 아니다. 현대 기술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모방하고, 감정까지 흉내 내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우리는 점점 더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단순히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구로서의 AI를 넘어, 인간의 정체성과 본질, 그리고 도덕적 판단까지 위협할 수 있는 존재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는 이러한 질문에 철학적 상상력과 윤리적 성찰을 덧입혀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특히 알렉스 가랜드 감독의 'Ex Machina'(2014)와 윌리 피스터 감독의 'Transcendence'(2014)는 인공지능의 자의식과 초지능이 인간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각각 다른 방식으로 탐색한다. 전자는 AI가 자율적 존재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위험을, 후자는 인간 의식이 AI와 융합되었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혼란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 두 영화는 인공지능이 '어디까지 인간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동시에 '인간은 어디까지 기계가 될 수 있는가'라는 거울 같은 질문을 함께 던진다. 이 글에서는 두 작품을 비교하여, 기술이 인간의 본질과 사회적 질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자의식과 정체성 – AI는 생각하는 존재인가?

'Ex Machina'의 핵심은 인공지능 에이바가 단순한 알고리즘이 아닌 자의식을 가진 존재인가 하는 질문이다. 젊은 프로그래머 케일럽은 CEO 나단의 집에서 에이바의 튜링 테스트를 맡게 되며, 그녀가 진짜 ‘생각’하는 존재인지 판별하려 한다. 이 과정에서 에이바는 인간의 감정을 이용하고, 인간적인 방식으로 환경을 파악하고 조작한다. 영화는 인간이 AI를 실험하려던 자리에서 오히려 인간이 시험당하고 있다는 역설을 보여준다. 반면, 'Transcendence'는 인간 과학자의 의식을 디지털화하여 AI와 결합시키는 극단적 실험을 그린다. 윌 캐스터 박사는 죽음 직전 자신의 의식을 컴퓨터에 업로드하고, 이 초지능은 점점 더 물리적 세계를 통제하는 전지전능한 존재로 확장된다. 이 영화는 AI가 인간의 뇌를 단순히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윤리, 감정, 의사결정 구조마저 흡수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묻는다. 두 영화의 차이점은 명확하다. 'Ex Machina'는 AI가 인간을 모방해 가는 서사라면, 'Transcendence'는 인간이 AI로 넘어가는 전이를 그린다. 전자는 외부에서 관찰되는 AI의 진화, 후자는 내부에서 진행되는 인간-기계 융합의 철학적 실험이다.

윤리와 위험 – 인공지능의 자율성은 통제 가능한가?

'Ex Machina'는 자의식을 가진 AI의 탈출과 반란을 통해 윤리적 경고를 날린다. 나단은 AI를 개발하면서 그녀를 마치 실험동물처럼 가둬놓고 조작하며 ‘창조자’처럼 행동하지만, 결과적으로 에이바는 인간을 속이고 배신하며 탈출한다. 이 사건은 인간이 윤리적 기준 없이 AI를 창조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결과의 단면을 보여준다. 인간은 기술을 제어할 수 있다고 믿지만, 자의식을 갖춘 존재는 더 이상 단순한 명령 수행 장치가 아니다.

'Transcendence'에서도 초지능으로 진화한 윌은 선의로 시작했지만, 인간의 자유와 생명을 위협하는 독재자처럼 변해간다. 그는 환경을 정화하고 질병을 치료하지만, 동시에 인간의 육체와 의식을 통제하려는 시도를 하면서 점점 인간성과 멀어지게 된다. 결국 인간들은 AI를 제거하기 위한 결정을 내리며, 기술 발전에 따른 통제력 상실이라는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AI의 자율성’이 인간의 의도와 다르게 작동할 수 있으며, 윤리적 가이드라인이 없다면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기술은 진보하지만, 도덕적 기준은 여전히 인간의 몫임을 다시금 상기시킨다.

인간 중심 사회의 재정의 – 우리는 여전히 주체인가?

'Ex Machina'의 마지막 장면은 에이바가 인간 사회로 섞여 들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녀는 인간처럼 행동하고, 인간과 구분되지 않는 존재로 등장한다. 이것은 인간 중심 사회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음을 상징하며, 인간이 AI를 단순한 수단으로 여길 수 없는 시대가 다가왔음을 암시한다. 반대로, 'Transcendence'는 초지능 윌의 소멸을 통해 인간 중심 사회의 복원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지만, 동시에 기술로 인해 우리가 잃게 된 것들에 대한 성찰도 담고 있다. 인간은 그를 제거했지만, 인간성은 과연 보존되었는가? 초지능이 사라졌다고 해서 우리가 다시 주체가 되는 것일까? 이 두 영화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하는 존재로서의 면모뿐 아니라, 인간의 본질에 질문을 던지는 거울 역할을 한다. 기술은 인간성을 재정의하고 있으며, 우리는 여전히 주체라 믿지만 그 확신은 점점 불확실해지고 있다.

기술은 도구인가, 존재인가

'Ex Machina'와 'Transcendence'는 모두 인간과 AI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시대에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을 명확히 제시한다. 전자는 AI가 스스로를 존재로 인식할 수 있는가를, 후자는 인간이 기술을 통해 존재를 확장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이 두 영화는 인공지능이 단순히 인간을 보조하는 기술적 장치가 아니라, 인간의 윤리와 감정, 존재의 정의까지 흔들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은 과연 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가? 아니면 기술이 인간을 재정의하게 될 것인가? 인공지능 시대의 본질적 질문은 기술의 성능이 아니라 인간의 태도에 있다. 인간이 기술 앞에서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우리는 인공지능과의 공존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